[Python 코테 입문] 1. 시간복잡도
Hi.Claire
🖥️ 입문자를 위한 코딩테스트 핵심 - Python (김태원, 인프런) 섹션1. 시간복잡도1-1. 시간복잡도의 개념시간복잡도는 입력크기와 연산량(프로그램의 연산 횟수)과의 함수관계를 의미한다.(예) T(n) = 2n² + 3n: 입력의 크기가 n일 때, 입력크기와 연산량은 2차 함수의 관계를 가진다. 1-2. 시간복잡도를 표현하는 방법(1) Big-O 표기법 (★중요)최악의 상황을 가정하여 연산량을 계산하는 표기법(예) 배열에서 5를 찾는 경우 (순차탐색)32116798415: Big-O 표기법은 "니가 작성한 프로그램이 최악의 경우 이 정도까지 시간이 걸릴 수 있다."는 것을 알려준다. (2) Big-Ω 표기법최선의 상황을 가정하여 연산량을 계산하는 표기법(예) 배열에서 5를 찾는 경우 (순차탐색)..